본문 바로가기

직업_정보의모든것

생산자동화기능사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글은 생산자동화기술사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생산자동화기능사라고 생소한 이름이지만 이쪽 분야에서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기능사라고 생각합니다

생산자동화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는 생산적 기술 사는 라인 생산의 바로미터에 관련된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 구매자를 실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전문가를 뜻합니다. 기능적인 업무에서는 기계적 장치를 설계 및 제작, 운영, 유지보수 업무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기능사입니다. 필기가 굉장히 합격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2017년도부터 2020년까지는 평균 합격률 40%로 기록되었지만 2021년 기준으로 35%로 5% 하락하였습니다 하지만 실기 같은 경우 70% 이상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로 생산자동화기능사는 어디 환경에서든 공장이 있듯이 여러 분야로 갈 수 있는 장점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는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동화로 변화하여 전망 좋은 자격증이라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자격증에 대해 방향성

대기업에서도 우대하는 자격증이며, 주로 각종 공기업 고졸공채에서 기계분야 필수 또는 가산 자격증으로 자주 쓰이는 자격증이며,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용접기능사 등의 자격증 보다 조금 밀리는 편이긴 합니다 그러나 기계직 공무원이나 한국조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많은 기계직 업계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마이스터고 졸업을 앞둔 학생들이나 대기업 특채에 지원할때 인정받는 자격증이라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시험 정보 및 난이도

필기시험 같은 경우, 총 60문항으로 출제되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득점하셔야 합격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1.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 기계제도
  3. 메카트로닉스 일반

실기 시험은 작업형으로 해서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입니다 위에 필기시험과 동일합니다

  • 기계요소설계작업 / 1시간30분
    • 지급된 도면을 보고 3차원 모델링 및 2D 도면 작업을 하여 출력
  • PLC작업형 / 2시간
    • 주어진 조건대로 동작이 되도록 컴퓨터로 PLC 프로그래밍을 하는 작업 
    • PLC제어작업 채점이 세분화되어 테스트 동작이나 단순동작, 연속동작으로 3개가 동작 사항으로 공정순서도를 활용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두 가지 시험으로 분류되며, 캐드 30점 + PLC 70점으로 총점 100점에 60점 이상 득점을 하셔야 합격입니다.

출저 : 큐넷_합격률 현황


글을 마치며, 생산자동화기능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참고해서 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